요즘같이 추운 겨울이 되면 따끈한 생강차가 생각나곤 합니다.
감기에 좋다고 알려진 생강은 추운 겨울이 되고, 몸이 조금 으슬으슬하다는 느낌이 오면 어머님께서 끓여주던 차이기도 합니다. 저희 부모님께서도 감기 기운이 있거나 목이 칼칼하다 느끼면 바로 찾을 만큼 감기나 기침 증상에 좋다고 알려진 생강. 다른 좋은 효능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강은 공자가 식사 때마다 먹었다고도 전해지는 보양 식품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생강은 소화제로서 심기를 통하고 양을 돋우며 오장육부의 냉을 제거하는데 쓴다" 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동양에서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생강의 효능은 유명했습니다. 피타고라스는 생강이 훌륭한 소화제라고 제자들에게 말했습니다. 수학자로만 알고 있는 피타고라스는 그리스를 대표하는 식물학자이며 신비주의자였고 인류 최초의 채식주의자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예전에는 동서양에서 생강이 귀한 식품이었고 하늘의 신들이 먹는 식품으로 여긴 식품이었습니다.
생강에는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위장의 운동을 촉진하는 성분이 있어서 식욕을 돋워주고 소화 흡수를 돕는 작용을 합니다. 생강에 함유된 화합물이 담즙과 타액 생성을 자극하고 소화관을 통하여 음식물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므로 소화 불량으로 힘든 사람이 있다면 생강을 섭취하므로써 속이 편안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 위장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어 비, 위장의 제 기능을 발휘하므로 생강차를 마셔주어 소화를 돕고 식욕을 돋워주며 복통과 구토를 치료해줍니다. 약리학적으로 생강은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위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생강에는 디아스타아제와 단백질 분해 효소가 들어 있어서 생선회와 같은 음식과 함께 먹을 시에는 소화를 돕고,
맵고 알싸한 성분이 살균 작용하여 식중독의 위험을 막기도 합니다. 따라서 생선회와 같은 날것을 먹을 때 생강을 곁들여 먹는 것은 궁합에 잘 맞아서 먹는 즐거움을 더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강은 소화가 잘되게 하는 것뿐만이 아닙니다. 강한 발한 작용으로 감기는 물론 여자들이 손과 발이 찬 수족 냉증, 생리통 등의 증세를 완화해주는 데 도움을 줍니다. 생강은 땀을 내거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어 몸을 속까지 훈훈하게 해줍니다. 그리하여 냉증, 불감증, 생리불순 등을 고치는데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여 여성들에게 좋은 음식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산후의 하복통에는 생강을 달여서 소주에 타서 마시면 효과가 크고, 월경 시 복통이 심하거나 사지가 찬 여성이 매일 식전에 생강차 한 잔을 마시면 효능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임신 초기의 입덧을 잡는 데도 효과적입니다.
생강은 향균 작용 능력도 탁월합니다. 해독 효과가 뛰어나서 음식물이나 약에 중독 되었을 때 효과가 있습니다. 살균 향균 작용을 가지고 있는 생강은 악하고 더러운 것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 육류나 어류 등의 비릿한 냄새를 없애주는 작용을 돕고 있습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암을 예방하는 효험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멀미약보다 생강이 멀미 증세를 가라앉히는 효과가 더 뛰어나다고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강도 혈관을 확장하고 흥분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고혈압이나 치질이 있는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몸에 열이 많거나 더위를 잘 타는 경우 또 음기가 부족해서 열기가 오르는 경우에는 생강의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혈성 질환이나 열성병, 피부병이 심하거나, 눈에 충혈이 자주 생길 때는 또 임신 중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 섭취하게 되면 열이 쌓이거나 음기를 상하게 하여 주의하며 섭취하여야 합니다.
음식에 넣어 먹거나 절여 먹기도 하지만 제일 쉽게 섭취하는 방법은 아무래도 차로 만들어 먹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생강차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강을 껍질을 깨끗하게 씻어 얇게 편으로 썰어 찬물에 푹 끓여서 맛이 우러나도록 합니다. 맛이 충분하게 우러나면 생강을 체에 거르고 물만 차로 마십니다. 따뜻하게 데워 놓은 잔에 생강차를 담고 꿀을 기호에 맞도록 넣으면 좋습니다. 심하게 감기에 걸렸을 때는 찧은 마늘을 넣어 함께 끓여서 마시고, 기침이 나고 목이 아플 때는 꿀을 좀 더 넣어 먹으면 효과적입니다. 이런 생강차는 매일 5회 정도 복용하면 좋습니다.
이러한 생강 어떤 것을 고르면 좋을까요?? 손으로 만졌을 때 단단하고 노란색을 띠며 쪽이 굵고 굴곡이 적은 것이 좋은 생강입니다, 또 껍질에 주름이 없고 얇으며 깨끗해야 합니다. 생강을 싱싱하게 오래 먹으려면 모래 속에 묻어두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모래를 구하기 어려울 때는 비닐봉지에 한두 군데 구멍을 뚫고 생강을 넣은 후에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강의 영양분은 대부분 껍질에 들어있습니다. 깨끗하게 씻은 후 껍질을 벗기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음식에 감초처럼 쓰이는 생강에 효능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추운 날 한잔 따뜻하게 먹으면 몸을 녹여주는 생강차. 좋은 효능 알아보며 맛있게 드셔보시는건 어떠신가요 ?
'식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의 효능 토마토 먹는 방법 (0) | 2023.01.26 |
---|---|
양파의 효능과 양파 먹는 방법 (0) | 2023.01.25 |
부추 먹는 방법 부추의 효능 (1) | 2023.01.19 |
마늘의 효능 올바른 섭취 방법 (0) | 2023.01.18 |
당근의 효능과 먹는 방법 좋은 당근 고르는 법 (1) | 2023.01.17 |